- 驪江여강
日暮蒼江上(일모창강상)
天寒水自波(천한수자파)
孤舟宜早泊(고주의조박)
風浪夜應多(풍랑야응다)
- 羅湜(나식, 1498~1546)
- 여강
푸른 강 위로 해는 저물고
차가운 날씨에 물결은 절로 인다
외로운 조각배 일찌감치 대야하리
밤 되면 바람과 물결 거세어 질러니
다가오는 죽음의 그림자를 보았을까? 급박하게 돌아가는 정치현실에서 자신에게 엄습해오는 탄압을 피하고 싶은 마음을 읊고 있다. 羅湜은 조광조의 門人(문인)이었다. 그는 을사사화 때 강계로 유배된 뒤 사약을 받고 죽었다. 日暮, 天寒, 風浪은 불안정한 정황을 나타내는 詩語(시어)들이다. 政變(정변)을 예고하고 있다. 이 시의 전반부는 당나라 시인 劉長卿(유장경)의 逢雪宿芙蓉山(봉설숙부용산)의 전반부 日暮蒼江遠 天寒白屋貧(일모창강원 천한백옥빈)을 차용하여 자신이 처한 상황을 묘사했다. 한시에서 전반은 다른 사람의 시를 차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후반에서는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표현한다. 자신을 외로운 조각배에 비유하며 풍랑을 피하고 싶어 한다. 작자의 인간적인 고뇌를 음미할 수 있는 시다.
驪江(여강) ; 여주 근처인 남한강 중류, 상류는 단양부근이라 단강, 남한강 전체를 여강이라고도 함
宜(의) ; 마땅하다
應(응) ; 응하다, 꼭, 당연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