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

김관영 전북지사, 완주군민과의 대화 또 무산

홈페이지관리자 기자 입력 2025.06.26 09:40 수정 2025.06.26 09:52

김 지사 "완주·전주통합, 전북에 도움...최종선택은 군민몫"
완주군의원들 삭발식 "군민 함께 끝까지 투쟁해나가겠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사의 ‘완주군민과의 대화(도민과의 대화)’가 또 무산됐다. 이번이 두 번째다. 
↑↑ 김관영 전북지사가 6월 25일 가진 기자회견에서 완주-전주 통합 최종 선택은 군민들의 몫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6월 25일 오전 김관영 지사는 완주군청을 방문, ‘완주․전주통합’ 문제의 실타래를 풀기 위한 도민과의 대화를 이어갈 예정이었으나 완주․전주 통합을 반대하는 완주군의회 의원들과 400~500명의 군민이 김 지사가 도착하기 전부터 통합 반대 집회를 벌이면서 현장에 긴장감이 돌았다.

이날 집회가 열린 완주군 문예회관 곳곳에는 ‘강압적인 통합 추진, 김관영은 즉각 사퇴하라’, ‘더불어민주당은 사전투표 기간 통합 여론조사를 강행한 김관영을 즉각 제명하라’라는 등의 현수막이 내걸렸다.

또한 주민들은 ‘김관영은 물러나라, 사퇴하라’는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쳤고, 유의식 완주군의회 의장을 포함한 의원들은 ‘통합 추진 중단’을 주장하면서 삭발식도 강행해 분위기는 험악해졌다. 

완주군의회는 이날 김 도지사의 완주군 방문에 대해 “실질적 소통은 없는 껍데기 정치쇼에 불과했다”라면서 “군민의 분노만 확인한 채 김관영 도지사는 빈손으로 돌아갔다”고 주장했다.
 
유의식 완주군의회 의장은 “정치는 책임이다. 만에 하나 군민 동의없이 통합이 강행된다면, 완주군의회는 의원 전원이 불출마라는 정치적 책임으로 맞설 것”이라면서 “도지사와 전주시장의 공약으로 촉발된 통합 논의가 주민들의 요구로 시작됐다는 거짓을 일삼는 김관영 도지사에 경고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이어 “앞으로 완주군의회는 군민과 함께 끝까지 투쟁해 나갈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통합을 반대하시는 분들과의 대화를 지금까지 피한 적이 없다”며 “찬성이든 반대든 누구나 완주군 주민들의 삶과 미래에 관해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어 김 지사는 “완주·전주 통합이 전북을 위해 분명히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간절한 마음이 있지만, 최종 선택은 군민들의 몫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 6월 25일, 완주군의원들이 완주-전주 통합에 반대하며 삭발식을 진행하고 있다.

김 지사는 이날 군민과의 대화가 무산된 직후 공식 SNS에 올린 글에서 “사랑하고 존경하는 완주군민 여러분, 더 자주 소통하겠습니다”라며, "다시 찾아뵙겠다"고 밝혀 세 번째 방문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전했다. 

이어 김 지사는 “오늘 완주군민과의 만남이 또다시 무산되었다. 두 번째다. 도지사로서 군민 여러분과 직접 마주 앉아 소통할 수 있길 손꼽아 기다렸다”면서 “하지만 통합 반대 단체와 완주군의원들의 대화 거부와 접근 방해로 대화의 길이 재차 가로막혔다”며 유감과 아쉬움을 전했다.

또한 김 지사는 “전주․완주 통합의 찬반 이전에, 12.3 내란을 극복하고 민주주의의 회복 탄력성을 세계에 증명한 우리에겐 각자가 생각하는 미래상에 관해 진심 어린 소통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행정통합은 단순한 행정구역 변경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발전과 주민의 삶에 직결되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서로의 생각이 다르더라도 마주 앉아 의견을 나누고, 완주군의 바람직한 미래를 토론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밝힌 김 지사는 “지금 우리는 전주-완주 간선도로망의 교통혁명, 2036년 올림픽 유치, 지역소멸 극복 등 중요한 과제를 앞두고 있다”면서, 갈등 대신 대화로, 분열 대신 통합으로, 역지사지의 자세로 우리 지역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기를 진심으로 바라본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이재명 국민주권정부의 시대정신인 ‘대화와 소통’을 포기하지 않겠다”면서, 완주군민과의 대화를 위해 다시 찾아뵙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지난해 7월에도 통합 반대측의 반발로 14개 시․군 중 마지막 도민과의 대화인 ‘완주군민과의 대화’를 이어가지 못했다. 또한 지난 3월에는 찬성과 반대 단체의 충돌이 우려된다며 완주군 방문과 군민과의 대화를 연기한 바 있다. 

 한편, 이에 앞서 유희태 완주군수는 최근 기자회견을 통해 “행정안전부에 완주․전주 통합 찬반을 묻는 여론조사가 선행돼야 하며, 먼저 군민의 뜻이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전북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